저는 먹는 것을 너무 좋아하지만 동시에 조심스러웠어요.
어릴 땐 체력이 약했고, 청소년기에는 피부와 소화 문제로 힘들었습니다.
직장에 다니면서는 스트레스성 위염과 신경성 대장염까지 겪으면서 음식 하나가 일상에 큰 영향을 준다는 걸 몸소 느꼈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디저트를 좋아했어요.
다만 “이걸 먹어도 괜찮을까?” 하는 불안이 항상 따라다녔죠.

가장 어려운 점은 마음 놓고 먹을 수 있는 디저트를 쉽게 찾을 수 없다는 것이었어요.

성분표를 끝까지 확인하면서 고르곤 했는데 이게 은근히 스트레스가 되더라고요.

그래서 고민 끝에 스스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안심할 수 있는 재료, 소화가 잘되는 제조법, 그리고 무엇보다 맛.
그 과정을 통해 깨달은 건, 디저트가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삶을 지탱하는 작은 기쁨이라는 걸요!

 

저는 9년 동안 식품위생과에서 근무하며 식품의 안전과 청결 관리, 성분이 얼마나 중요한지 경험할 수 있었는데요! 

이 경험은 제가 디저트를 개발할 때, 단순히 맛을 내는 것을 넘어 누구나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기준을 잡을 수 있도록 해주었어요.

 

저의 디저트 철학과 써니크럼의 기준은 단순합니다.

  • 성분 걱정 없는 디저트 : 알레르기·유당불내증·민감 체질도 고려
  • 건강과 맛의 균형 : 설탕과 기름을 줄여도 깊은 풍미를 살리는 레시피
  • 위생과 안전 : 전문적인 위생 기준을 유지

저는 건강을 위해 맛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건 디저트를 먹으면 “맛이 없을 거야”라는 고정관념이 있지만, 써니크럼은 그 생각을 깨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비건 같지 않다”, “속이 편하다”라는 피드백을 주셨고요.

결국 제가 하고 싶은 건 “건강한 디저트도 충분히 맛있을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요.

 

01234
써니브리즈 쿠키

 

 

저에게 디저트는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삶을 지탱하는 작은 기쁨이자 위로입니다.
그래서 써니크럼은 누구나 안심하고, 즐겁게, 그리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디저트를 만들고자 합니다.

만약 ‘건강하면 맛이 없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망설이셨다면, 한 번 써니크럼을 경험해 보세요.

왜 계속하고 있을까?

 

“가게 문 닫았으면 이제는 안 만들겠네요?”
종종 듣는 질문이에요.
그리고 그럴 때마다 “지금도 매일 만들고 있어요.”라고 답하고 있습니다.
8시쯤 커피 한 잔 내리고, 오븐이 예열되는 소리를 들으면서

마음이 차분해지는 그 감각이 저에게 안정감을 줘요.
그렇게나 힘들어했고, 이젠 안 해’라며 고개를 저었었는데

여전히 만들고 있는 자신이 신기할 따름이에요.  


시작과 멈춤, 그리고 다시 시작

 

처음 가게를 열 때, 저는 두려움보다 확신이 컸어요.

“내 디저트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마음 하나로 시작했어요.
디저트를 통해서 사람들과 연결되고 싶다는 마음과 내 디저트로 위로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 있었어요.
그런데 좋아하는 일을 한다고 해서 항상 행복한 건 아니더라고요.
일이 많아질수록 지치고, 사람들의 반응에 일희일비하고,
“이게 내가 진짜 원하던 방식이 맞나?” 계속 질문하게 되더라고요.

결국, 문을 닫기로 했어요.
가게를 접는다는 건 단순히 일을 쉬는 게 아니라
한때 진심이었던 저의 마음을 내려놓는 일이기도 했어요.
처음엔 정말 쉬고 싶었고, 베이킹과 멀어지고 싶었어요.


그런데 이상하게도, 어느 순간 다시 베이킹을 하고 있더라고요.
 ‘해야 하니까’가 아니라 '하고 싶어서’였어요.
베이킹은 제게 단순한 일이 아니라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무언가’였던 거죠.
 

한 통의 메시지

 

어느 날, 제가 만든 휘낭시에를 드셨던 손님에게서 메세지를 받았어요.

“요즘 좀 힘들었는데, 사장님 디저트 먹고 위로받은 기분이었어요.”
그 메시지를 한 참 보면서 제가 왜 다시 굽고 있는지를 떠올렸어요.
디저트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감정의 언어가 될 수 있다는 걸
그걸 잊고 있었더라고요

 

제가 처음 디저트를 만들기로 마음먹었을 때도 비슷했어요.
우울증으로 힘들어했던 시절, 우연히 먹었던 케이크 한 조각이 제 인생을 바꿨어요.
달콤하면서도 상큼했던 그 케이크가 누군가의 말보다 저를 따뜻하게 안아주는 느낌이었어요.

그 순간이 없었다면, 지금의 저는 없었을 거예요.
그래서 저도, 누군가의 그런 순간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지금도 계속 굽고 있어요.

 

‘써니크럼’이라는 이름에 담긴 의미

 

‘써니크럼’은 햇살 같은 따뜻함과
쿠키 조각처럼 소소하지만 다정한 느낌을 담은 이름이에요.

할머니가 손자, 손녀를 위해 디저트를 만들던
그 다정함과 정성이 떠오르는 단어이기도 해요.
이 공간이 누군가에게 ‘위로’, ‘추억’, ‘다시 오고 싶은 장소’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어요.

이 이름을 처음 지었을 때, 마음 한 편이 따뜻해지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지금도 써니크럼을 부를 때마다 마음이 따뜻해져요.

 

써니크럼이 지향하는 것

 

써니크럼이 추구하는 건 단지 ‘맛있는 디저트’가 아니에요.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이걸 먹는 사람이 오늘 하루만큼은 따뜻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에요.
디저트 하나로 기분이 조금 나아질 수도 있고,
말없이 위로를 건넬 수도 있으니까요.


지금은 가게 대신 클래스와 소규모 주문으로
써니크럼을 이어가고 있어요
판매보다 관계에 집중하고,
속도보다 방향에 집중하는 방식으로요.
누구를 위한 디저트인지,
왜 이걸 굽고 있는지를 놓치지 않으려고요.

 

저에게 디저트는 '위로'입니다

제가 저의 디저트에 대한 철학을 말하면 사람들이 
“요즘 디저트 가게가 얼마나 많은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어?”
“먹는 게 무슨 위로가 돼.”라고 말을 해요.

그럴 수 있다고는 생각해요.
그래도 디저트 하나로 누군가의 무거운 마음이 잠시라도 가벼워질 수 있고,
사람과 사람이 연결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베이킹은 저에게 사랑을 전하는 방식이에요.
먹는 사람도, 함께 만드는 사람도,
모두 그 안에서 다정함을 느끼기를 바라면서요.

 



마무리

저의 신념은 단 하나예요. “지금 여기서 행복할 것.”

혹시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도 조금 지치거나,
작은 위로가 필요하다면 써니크럼으로 오세요. 

당신의 마음 한구석을 따뜻하게 데워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속도로 살고 있어요.
그리고 그 속도 안에서
나를 돌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면,
이미 충분히 괜찮은 출발이에요.

 

 

‘조개 모양만 잘 나오면 성공한 줄 알았는데… 뭔가 이상하다?’

마들렌은 겉보기엔 단순해 보여요.
버터를 녹이고, 달걀 넣고, 다른 재료들을 잘 넣고 제대로 구웠으니
'배꼽 통통한 마들렌이 나올거야!' 라고 생각했지만

오븐에서 꺼낸 순간, '응? 왜 이런거지?' 싶을 때가 있죠.

정성들여서 만들었는데 배꼽이 꺼져 있거나, 식감이 거칠거나,

반죽이 덜 익었거나 등등 뭐가 문제인지 모를 때 오늘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
오늘은 마들렌이 실패하는 이유를 차근차근 짚어볼게요.

 

1. 반죽을 ‘쉬게’ 하지 않는다

“바로 구워도 되지 않나요?”
아니요. 마들렌은 휴지가 핵심이에요.

마들렌 반죽은 냉장 휴지가 필수예요.

여기서 휴지란? 반죽을 '잠시 쉬게 하는 과정'이에요.
냉장고에 반죽을 그대로 두고 기다리는 시간인데, 이 시간이 아주 중요해요.

왜냐하면 마들렌 반죽은 바로 구우면 속이 덜 익거나, 퍼지거나, 봉긋한 배꼽 모양이 안 생길 수 있어요.


최소 1시간, 가능하면 2시간 이상 휴지하면 훨씬 좋아요.
왜냐면 휴지 과정에서

  • 글루텐이 안정화되고
  • 버터가 반죽에 고르게 퍼지고
  • 구웠을 때 봉긋한 배꼽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 훨씬 더 고르게, 촉촉하고 부드럽게 구워질 수 있답니다.

Tip. 마들렌 반죽, 이상적인 휴지 시간은?

  • 냉장 휴지 1시간~3시간: 풍미가 좋아지고, 부풀기도 안정적이에요.
  • 최대 6시간 이내 사용하세요.
  • 반죽은 묽게 만들되, 휴지 후 질감을 고려해 수분량 조절해야 돼요.

 

2. 오븐 예열이 정확하지 않다

마들렌은 ‘굽는 온도’에 민감한 디저트입니다.

  • 오븐이 충분히 달궈져 있지 않으면 부풀어야 할 타이밍을 놓쳐요
  • 온도가 너무 높으면 겉은 탔는데 속은 덜 익어요
  • 온도가 너무 낮으면 볼록한 배꼽 없이 퍼지기만 해요
  • 적절한 온도와 휴지 두 가지 모두 충족되어야 봉긋한 배꼽이 나와요 

Tip.

  • 190도 예열 후, 170도~180도 에서 10~12분 구움 (오븐에 따라 조정 필요)
  • 정확한 온도 확인을 위해 오븐 온도계를 꼭 사용하세요.

 

 

3. 틀에 버터를 바르지 않거나, 반죽을 가득 채운다

조개 모양이 예쁘게 나오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팬에 버터를 꼼꼼히 바르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코팅된 틀이니 안 발라도 될 것 같아서 스킵하신 분들도 있을시거라 생각해요.

마들렌 표면이 매끄럽게 나오려면 코팅팬이라도 꼭 버터칠을 해야 하고

포마드 버터 (크림처럼 부드러운 상태) 를 붓으로 꼼꼼하게 바르고 팬의 70~80% 정도만 채워야 해요

너무 가득 채우면 흐르면서 모양이 망가지고 너무 적게 넣으면 납작한 마들렌이 나옵니다.

 

배꼽도 잘 나오고 구움색도 잘 나와서 틀에서 빼내려고 하는데 

마들렌이 다 찢어지는 경험 있으시죠?

틀에 버터가 충분히 칠해지지 않았거나 틀의 코팅이 벗겨져서 달라붙는 경우도 있어요.

틀 상태를 잘 확인하는 것도 중요해요.

 

Tip.

  • 녹인버터 보다 포마드 버터를 얇게 바르는 것을 추천해요.
  • 틀에 버터를 많이 칠하면 튀겨지듯이 구워지니 꼭 얇게 칠한 후 팬닝하세요.
  • 팬에 버터칠 → 밀가루 얇게코팅 →  냉장고에서 냉먹이기 → 반죽 팬닝 → 굽기
  • 입문자는 실리콘틀 보다 금속 틀을 추천해요.

 

4. 재료 온도가 맞지 않는다

버터가 너무 뜨거울 경우 달걀이 익어버려요.
달걀이 너무 차가울 경우 버터와 반죽이 분리돼요.

재료 온도는 정말 사소한 것 같지만 마들렌에선 결정적이에요.

결과적으로 기름지고 뻣뻣한 식감이 나게 되죠.

 

Tip.

  • 버터는 녹인 뒤 50도~60도로 사용
  • 달걀은 미지근한 상태 (실온 온도)
  • 반죽 혼합 시 한 방향으로 천천히 섞어요. 마들렌은 과하게 섞으면 식감이 거칠어지고
    기공이 생겨서 잘랐을 때 예쁘지 않아요. 

 

5. 팬닝 전 반죽을 다시 섞지 않는다

휴지를 한 반죽을 그대로 팬닝하면 안 돼요
시간이 지나면서 버터와 밀가루가 가라앉고,
윗부분은 묽고 아래는 진해지거든요.

그대로 팬닝하면 각각 다른 마들렌이 나올 수 있겠죠?

 

Tip.
팬닝 전 주걱으로 골고루 섞는 거 잊지 마세요!

 

 

6. 자나깨나 다시 확인하는 계량 

달걀을 계량하다가 조금 남았을 때 ' 이 정도면 괜찮겠지' 하고

그냥 넣었던 경우 있었나요?

반죽의 수분량이 늘어나면서 원하는 식감이나 볼륨이 안 나올 수 있어요

버터가 너무 많으면 기름지고, 설탕이 많으면 표면이 딱딱해지기도 해요 

Tip.
전자저울을 사용해서 정확하게 계량하는 것을 추천해요. 

 

 

써니크럼에서 함께 만들어 보아요

마들렌은 단순한 레시피 같지만, 생각보다 디테일이 많아요.
온도, 휴지, 틀 상태, 재료 섞는 순서 하나하나가 결과물을 좌우하죠.
써니크럼 클래스에서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실패하는’ 과정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함께 풀어가요.

‘왜 실패했는지’를 알게 되면, 베이킹은 더 이상 운이 아니에요.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입 안에서 부드럽게 퍼지는
써니크럼만의 마들렌을 함께 만들어 볼 거예요.

 

클래스가 끝난 후에도 집에서 혼자 만들 수 있도록
오븐 환경에 따른  온도 조절법, 실패했을 때 대처법까지 알려드려요.
결국 중요한 건, 완벽한 결과물보다 내 손으로 만들어 낸 경험이니까요.
써니크럼에서는 그 ‘첫 성공의 기억’을 함께 만들고 싶어요.

 


 

마무리하며

 

마들렌 재료는 단순하지만, 그 맛은 단순하지 않죠.

레시피대로 했는데 이상하게 실패하고 아무리 찾아봐도

원인을 못찾았을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요.

한 번에 안 될 수도 있어요. 저도 처음 배운 게 마들렌이었는데요.

계량도 제대로 하고 굽기도 잘 구웠는데 완전 푹 퍼져서 마들렌이라고 말하지 않으면

모를 비주얼로 나오기도 했었어요.

그래서 저는 실패가 베이킹의 필수 재료라고 생각해요. 

조급해 하지말고 자기만의 속도대로 천천히 만들어 보길 바라요

 

+ Recent posts